본문 바로가기
  • think normal
기획 노트/그냥 기획

AIT R&D center _ 05. mobile service (사업 제안_재래시장_2단계:기획서_베타)

by 청춘만화 2011. 5. 17.

AIT R&D center _ 02. mobile service (사업 제안_재래시장_2단계:기획서_베타)
“각 지역 특산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마켓 구축”
 


A.
사업개요

1-1. 과제명

각 지역 특산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마켓 구축

1-2. 추진배경 및 필요성

1) 추진배경

■ 브랜드화 vs 비 브랜드화

■ 영세농가의 특산물은 브랜드화 되지 못하여 ‘보성녹차’와 같은 지리적 표시 제도에 등록되어 보호받는 상품과 지방자치단체에서 품질을 보증하는 시특산물의 통합 브랜드 상품과 비교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 낮은 경쟁력은 다가오는 한-미 간 또는 한-EU FTA로 수입 농/특산물의 증대에 따른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도태될 우려가 있다.

 

■ 유통 폐해

■ 농산물의 생산이 특화된 상품을 제외하고는 전국에 산재된 다수의 소규모 농가에 의해서 수행된다.

■ 다수의 소규모 농가는 유통기능이 전문적이지 못하고 산지농가는 산지유통업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간 유통업체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

■ 좋은 품질이나 명성을 가진 지역특산물을 생산하는 농가 중 영세 농가는 생산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유통이 잘 이루이지지 않고 있다.

■ 또는 그 과정에서 중개 상인들의 유통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며 밭떼기 같은 현상을 초래, 정부차원에서 유통개선을 위해 수차례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 대형업체의 횡포

■ 시장성이 큰 대형마트와 대형유통업체의 급속한 확산으로 영세농가 뿐만 아니라 중소농가들의 상품을 유통판매하기 위해서는 대형업체들의 과도한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 지속적인 대형업체들의 성장으로 재래시장의 매출이 지난 4년간 20% 가까이 감소했지만 대형마트의 경우 30%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추세로 갈수록 영세 농가는 설 자리를 잃고 있다.

 

■ 기존 쇼핑몰 상황

■ 국내에 농특산물을 주제로 하는 쇼핑몰들이 다수 존재하며,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쇼핑몰의 경우 생산자가 직접 운영하거나 특정 몇몇 업체들과 거래를 통해서 운영하고 있다.

■ 일부 지자체에서 개설한 쇼핑몰의 경우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운영되는 쇼핑몰도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의 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히려 소비자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 전체 특산물 쇼핑몰들이 차별성 없이 비슷한 형태와 컨텐츠를 유지하며 산재된 많은 특산물 쇼핑몰이 존재하지만 홍보효과가 적어 소비자가 구하고자 하는 상품을 쉽게 찾지 못한다.

■ 쇼핑몰의 전반적인 소비가 설이나 추석 때와 평상시와 격차가 크다.

■ 품질에 대한 불안함

■ 설 제수용품 등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의 가격비교에서 재래시장이 오히려 더 저렴한 경우가 존재한다.

■ 소비자들이 가격변동이 심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낮은 가격임에도 망설이는 경향이 있고 또 품질이 검증되지 않은 상품에 대해서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2) 필요성

■ 브랜드화의 강점

■ 쇼핑몰에 참여한 영세농가 각각의 농가를 지역별, 상품별로 통합하여 공동브랜드화하면 하나의 단체로 묶는 역할을 함으로써 영농조합단체와 같은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농가들의 상호보완을 통한 시너지효과가 기대되고 공동브랜드의 사용으로 효율적인 공동마케팅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적인 비용감소와 기술 및 시장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 조직화된 농가들의 경쟁력 강화와 이에 따른 농가의 활발한 참여로 규모가 커짐으로써 출하물량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사료된다.

 

■ 기존 쇼핑몰과 차별성

■ 기존 쇼핑몰의 문제는 구축 후 실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 여부이다. 주로 사용하게 되는 지역 특산물 경영인 또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40, 50대 관리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자 모드를 “고급 관리자 모드 / 권장 관리자 모드 / 기본 관리자 모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 기존의 산재된 특산물들을 하나의 웹 쇼핑몰에서 통합하여 매매하는 차별화된 특산물 쇼핑몰 서비스를 생산자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 개설된 웹 쇼핑몰에서 영세농가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시장 구축한다.

■ 지역 특산물 농가마다 QR Code와 연계된 모바일 페이지를 구축해 소비자가 생산자의 정보에 접근 가능하게해서 소비자의 신뢰성을 증가. 웹과 모바일 모두에서 생산과정을 사진 및 동영상으로 공개함으로써 소비자가 보다 신뢰할 수 있도록 한다.

■ 농가에 지원되는 개별 모바일 페이지, 개별 QR Code, 쇼핑몰, 상품등록 시의 수수료 등 전부 무료 지원하여 영세농가의 부담을 줄여준다.

■ 부분적으로 특정 상품을 3D로 만들어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 또한 LBS 서비스를 적용하여 자신의 위치에서 가까운 농가에서 추진하는 이벤트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 생산자가 일정기간동안 주기적으로 소비자에게 상품을 보급하는 서비스를 시행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기간에 따라 가격을 지불하면 그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상품을 보급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실행한다.

■ 독자적인 서비스 및 컨텐츠를 구축함으로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
 

■ 소비자와의 소통

IM(Instant Messaging)서비스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가격 흥정을 가능하게하고, 웹과 모바일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자에게 소비자가 다가가게 한다.

■ 그에 따라 원활한 소통으로 양 측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가격담합을 초래하여 중간과정의 불필요한 유통과정을 삭제해 온라인 직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 소비자와 생산자의 만족스러운 거래가 지속되면 단골고객 유치가 가능하다. 
 

■ 모바일 필요성

■ 모바일을 통한 정보제공을 통해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새로운 상품의 정보를 알리면서 광고의 효과를 내고 소비자는 우수한 품질의 신선한 상품을 받아 볼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 이를 실시간으로 상품의 예약, 판매, 매매가 가능. 또 모바일을 이용한 실시간 이벤트를 통해 생산자는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 할 수 있고 소비자는 평소에 제공받지 못했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 예를 들어 생산자가 고추를 재배할 시기에 경작지를 소비자에게 개방해 참가비용을 지불하면 일정 시간 내에 경작지에서 소비자가 수확한 고추를 모두 소비자가 소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모바일을 통해 소비자에게 알리고 참자가 모집 가능하다.

■ 이로 인한 소비자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효과

 

1-3. 국내외 산업(시장) 현황

1) /특산물 브랜드 유형

■ 공동브랜드

■ 지자체가 개발주체가 되는 지자체 공동브랜드(시도브랜드시군브랜드)와 생산자조직이 연합으로 개발하여 공동 사용하는 생산자조직 공동브랜드(연합브랜드)로 정의할 수 있다.

■ 생산자조직 브랜드에는 여러 지역농협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여러 품목에 사용하는 지역연합브랜드, 특정 품목 생산조합이 연합하여 사용하는 품목연합브랜드, 시·군 단위 이상 생산자조직이 연합하여 사용하는 광역연합브랜드로 구분된다.

■ 개별브랜드

■ 개별생산자(개별농가 또는 개별법인), 단독 또는 소수의 생산자조직(1개의 지역농협 또는 전문농협작목반영농조합법인)이 개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정의한다.

구 분

브랜드주체

사 례

공동

브랜드

지자체

공동

브랜드

브랜드

광역지자체

Daily (경상북도 사과수출브랜드)

브랜드

군지자

안성마춤 (, 포도), 달재사과 (제천), 반딧불사과 (무주군청)

생산자

조직

공동

브랜드

지역

연합

지역농협연합

안성마춤 (안성지역농협사업연합단)

품목

연합

지역농협연합

햇사레 (복숭아)

광역

연합

지역농협연합

전문농협연합

광역영농조합

썬플러스, 불로초 (제주감협)

다래마을 (참다래유통조합)

붉은시월 (경남단감농협)

개별브랜드

개별농협

영농조합법인

작목회 등

참마을배 (외서농협)

임금님나주배 (나주농협)

산내울 (거창사과원협)

■ 최근 영세 특산물 경영인들 및 지자체들은 개별 브랜드화의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해당 지역 지자체 또는 생산자 조직들이 연합하여 추진하는 공동브랜드와 시군단위의 지자체가 개발주체가 되는 공동브랜드 유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2) 품목별 브랜드 현황

■ 저장이 상대적으로 장기간 가능한 식량작물이나 가공품의 브랜드화 율이 신선한 과채류나 과실류보다 높은 실정이다.

■ 특히 채소류나 화훼류와 같이 신선도가 그 농산물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경우엔 전체 브랜드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 이하로 극히 낮은 수준이다.

(단위 : , %)

구 분

식량작물

과실류

과채류

채소류

화훼류

축산물

임산물

특작류

농산가공

공통

기타

공 동

1,437

445

204

159

43

9

147

35

58

108

193

36

개 별

5,115

1,367

685

652

276

44

423

269

303

912

110

74

6,552

1,812

889

811

319

53

570

304

361

1,020

303

110

품목비율

100.0

27.7

13.6

12.4

4.9

0.8

8.7

4.6

5.5

15.6

4.6

1.7

3) ·도별 브랜드 등록 현황

■ 우리나라 농업의 중심지역의 대부분 지역이 낮은 등록률

■ 농업생산은 많이 하되 지적 재산권의 행사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단위 : , %)

구 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기타

등 록

2,410

234

331

247

232

178

326

412

233

89

128

미등록

4,142

187

486

311

511

436

715

760

501

63

172

6,552

421

817

558

743

614

1,041

1,172

734

152

300

등록비율

36.8

55.6

40.5

44.3

31.2

29.0

31.3

35.2

31.7

58.6

42.7

■ 지역 농협별로 대부분 브랜드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일 작목에 대해 여러 가지 브랜드를 가지고 있어 혼란스러운 점이 많다.

■ 감귤인 경우 너무 많은 브랜드가 있어서 일부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가 아닌 경우 품질이 차이를 알 수가 없어서 소비자가 감귤 구매 시 매우 혼란스러울 수 있다.

■ 이처럼 같은 지역에서 같은 품목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브랜드수가 수십 수백 개에 이른다면 소비자들의 상품의 우열과 차별을 분별하기 어렵게 되고, 결국 브랜드의 가치는 추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또한 단순히 지역이 명칭이나 농협의 명칭을 붙여놓은 것이라면 브랜드로서의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 농산물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 지원 받은 공동 브랜드가 난립하는 현상도 보여주고 있다.

■ 동일 작목에만 사용하는 공동브랜드, 여러 작목에 동시에 사용되는 공동 브랜드 등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품질 등급이 차이, 구매하는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등이 혼란은 더욱 가중 될 것이다.

4) 농산물 우수브랜드 육성을 위한 주요 내용

■ 품질관리의 핵심은 고객의 품질요구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품질 기준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자체 품질기준을 정하여 엄수해야 한다.

■ 목표시장과 수요전망에 기초하여 브랜드 상품을 생산하는 체계적 시스템과 공급 과잉 시 생산출하물량 조절을 위하여 참여조직과 구성원간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 브랜드 인지도 및 충성도 확보를 통한 판매증대 및 적정 이윤확보, 고객의 신뢰도 유지와 소비자와의 공명 관계 확립, 안정적인 시장유지를 위한 전략으로 상품차별화, 적정가격(프리미엄) 결정, 유통채널 선정,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등이 포함된 마케팅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발전 및 육성 방안

발전 및 육성 방안 주요 내용

탄탄한 추진 및 참여 주체와

브랜드 관리 조직

탄탄한 추진(참여) 주체 구성

우수한 브랜드 관리조직 구축

적합한 브랜드 추진 유형과

브랜드화 적정규모

적합한 브랜드화 유형 선정

브랜드화 적정규모 도출

합리적 브랜드 추진 형태 도출

적합한 추진형태 도출

차별적인 브랜드 개발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

차별화된 브랜드 포지셔닝

품질관리 및 통제 시스템 구축

적정 물량관리 및 가격관리 시스템 구축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통제시스템 구축

관련조직과 효율적 연계시스템 구축

마케팅 전략 수립실행

통합 관리 시스템 확보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실행능력 확보

브랜드 프로세스 통합관리 능력 확보

적합한 목표시장 설정

관련조직의 효율적 연계

각 지역에 위치한 행정기관과의 유기적 연계

기술지원과 교육훈련 등의 역할 분담과 필요

1-4. 사업목표 범위

■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구축 사업을 통해 첫 번째로 지역의 영세 특산물의 브랜드화, 두 번째로 합리적인 유통구조 마련 및 영세 특산물 경영자를 위한 지속 가능한 인큐베이터 구축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New IT 기술이 융합된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솔루션 활용하여 판매자와 소비자간 원활하고 발전적 의사소통을 통해, 지역 특산물 시장의 안정적인 경영과 탄탄한 브랜드 상품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일괄적 사업의 시행 및 적용이 아닌 사업 단계와 개발 단계를 분산 적용과 환경에 맞춰 개별 최적화할 수 있는 관리자 페이지를 구축함으로써, IT 활용 능력에 맞춰 참여하는 개별 경영인 모두가 보다 지속적이고 손쉬운 판매 및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더불어 일방적인 공급자 위주의 솔루션이 아닌 소비자의 자발적 참여로 인해 컨텐츠(매거진 / 농촌체험 / 농활 증명서 발급)가 생성되고 발전 및 배포될 수 있도록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솔루션에 적절히 융합함으로써 보다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자연스럽게 풀어갈 수 있도록 한다.

사업 목표

사업 범위

지역 특산품의 브랜드화

○ 지역특산품문화자연자원 활용사업

지역관광, 농촌체험, 전통공예 등 지역특화 아이템 활용사업

지역자원 및 특화브랜드 개발홍보 등 커뮤니티 마케팅 추진사업

합리적인 유통구조 및 인큐베이터 구축

○ 중간 마진을 없이 소비자와 직거래

○ 쇼핑몰 내 별도 서비스 구축 및 판매 수수료를 없애서 영세특산물

경영인들이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마련

○ 각 영세 개별 특산품 경영인들의 개별 상품의 패키지 상품 기획

용도 및 지역에 따라 포장 및 패키지 화

판매자는 재고 수급에 대한 고민을 낮춤

소비자는 구매 비용 대비 배송 비 부담 낮춰 구매율을 높임.

New IT 솔루션 활용

○ 맞춤형 솔루션 개발

판매자의 IT 활용 능력 및 판매 특산물의 특징에 각각 최적화된 솔루션 개발

○ 소비자와 판매자 간 원활한 소통

고객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품 관리자페이지도 모바일 솔루션을 통해 구현

소비자의 접근성 및 참여 증대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연동

 

 

B. 기술부문

3-1. 최종목표

사업목표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지역 특산물 판매자들의 “재도약을 위한 발판 마련”

DRW0000178800e4

기본방향 및 추진목표

판매자와 소비자의 직거래를 위한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마련

판매자 소비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관리자별 맞춤 페이지 구축

판매 또는 관리를 위한 솔루션이 아닌 소비자와의 소통이 중심이 되는 솔루션 개발

DRW0000178800e6

추진전략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서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N-screen전략을 기본으로 솔루션을 제작한다.

휴대성과 접근성이 쉽고 편리한 모바일을 통해 적극 관리 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정보 제공, 수정 및 배포 서비스를 손쉽게 활용한다.

 

■ 부분별 주요 기능 명세

성과 목표

전략 과제

주요 목록

세부 구현 기능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구축 및 네트워크 솔루션 구축

서비스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 제품 확인

● 카테고리별 구분

● 제품 구입

● 게시판

● 회원가입 및 개인정보 확인

● 이벤트 및 공지사항

● 웹 표준 준수

● 크로스브라우징

N-Screen 지원

SNS 연동

소비자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 물품 정보 확인

● 카테고리별 물품 확인

● 물품 구매

● 생산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배송 조회

● 구입 후기 작성

SNS 연동

관리 부분

전체 관리자 페이지

● 생산자 관리

● 회원 관리

● 카테고리 관리

● 게시판 관리

판매자별 상품별 맞춤 관리 서비스

생산자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

● 판매자 정보 등록

● 물품 등록

● 물품 관리

● 동영상/사진 첨부

●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SNS 연동

● 이벤트 등록 및 관리

● 매출 통계 보기

생산자별 관리자 페이지

3-2. 시스템 구성도

■ 제작된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은 개인용 컴퓨터와 모바일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다.

■ 안정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웹 서버 및 IM 서버를 IDC(Internet Data Center)에 위치시키고, 전자 지불 및 SMS 서비스를 위해 타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한다. 

3-3. 소프트웨어 개발방안

■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서비스의 웹 페이지를 중심으로 개발하며 주요 컴포넌트들을 분리하여 모바일로의 확장을 원활하게 한다.

■ 다양한 플랫폼 및 크로스 브라우징을 지원하기 위해 웹 표준을 따라 제작하여야 하며, 기존의 전자 지불 서비스 및 SMS 서비스와의 연동을 고려하여야 한다.

■ 따라서 다음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 웹과 모바일을 통한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의 제공

● 웹과 모바일을 통한 생산자의 관리자 페이지 제공

● 소비자와 생산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IM 서비스 제공

● 생산자별 모바일 웹페이지 제공

● 전자지불 및 SMS 서비스 연동

● 소셜네트워크 연동

■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기위해 자사의 보유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 본사는 웹페이지의 운영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모바일 웹 구축에 대한 기술을 보유 하고 있으며, 모바일과 PC상에서 모두 적용이 가능한 표준 프로토콜을 적용한 IM 서비스 기술을 보유 하고 있다.

■ 보유기술 : 모바일 웹 페이지 제작 기술 

■ 보유기술 : 이기종간 IM 서비스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XMPP)를 따르는 IM서비스
 
 

C. 사업관리부문

4-1. 추진체계

개발

1차년도

(2011)

계획 수립 및 자료조사

(시장현황 파악 및 현장에서의 Needs 파악, 서비스 개발 기획)

배재대 산학협

AIT

컨소시엄

참여업체

(각 지역별 컨소시엄 구성)

현장 DB구축 및 기술사항 피드백

(현장 정보의 자료화/ DB)

개별 경영인 홈페이지 구축

스마트 마켓 플레이스

알파 서비스 구축

(마켓플레이스 현장 검증 보완)

충청지역 베타 서비스 시행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 기반 마련 및 테스트)

보급

확산

2차년도

(2012)

수도권지역 베타 서비스 시행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 집중 축척 1)

웹 매거진 활용

컨텐츠 상품 구축

농촌 체험 활용

컨텐츠 상품 구축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 활용 1)

스마트 마켓 플레이스 정식 서비스 시작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 집중 축척 2)

3차년도

(2013)

전국 서비스 시행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 활용 1)

( 1, 2차 년도에 축적한 전국적으로 확대된 소비자 네트워크 자산을 활용 -> 위험 최소화, 비용/시간 절감)

소셜 커머스

전용 서비스 구축

과제 완료

이후

Re NEW

2014

(AIT 전담 지역 상품 조인식

스마트 마켓 플레이스

지역별 전용 PB 상품 기획

(브랜딩, 캐릭터, 스토리)

(패키징)

수출 상품 개발 및 유지



4-2.
추진일정계획

추진내용

추진일정

기간

()

7

8

9

10

11

12

제휴 및 컨소시엄 참여 단체 선정

(지속적 과제 )

a: 1

b: 2

c: 3

실제 참여업체들의 서비스 가능 상품 구성

6

기존의 운영 및 관리 형태 파악

6

기존 상품의 DB

6

협력 회사와의 DB구성 및 연동성 체크

3

기존의 서비스의 재사용 가능한 부분과 보완 및 추가해야 할 사항 파악

2

분석 / 카테고리 별 상품 분류 및 등록

2

소셜 네트워크 연동 및 테스트, 배포 및 개별 사용자 구성 및 연동

9

모바일 페이지 기획 및 상세 UX/UI 수정 보완

6

기획 및 상세 UX/UI

수정 보완

10

결제 시스템 구축 및 각 디바이스별 연동성 체크 및 수정보완

6

사용자 실제 활용도 테스트 및 교육

+ 상세 UX/ UI 최종 수정 보완

9

생산자 및 일반인 전반적 항목에 대한 현장 검증 및 보완

8




D.
보급 및 확산

5-1. 기본계획

5-1-1. 보급확산 목표

구 분

1단계

2단계

3단계

과제 이후

기 간

~ 2011

2012

2013

2014 ~

목 표 치

+ 20

+ 80

+ 100

+ 70 (해외 20)

보급대상

충청지역

수도권지역

전국

수출 상품 개발

5-1-2. 단계별 확산전략

1) 주요 수행 지침

■ 사업진행에 앞서 선정 된 참여 업체와의 원활한 과제 수행 및 원할한 상호 업무진행을 위해 협조를 얻어 2주간 상호 인력 파견 후 실무사항 조율 및 피드백 하도록 한다.

Ⅰ. 또한 실제 사용자인 판매자들과 개발인력을 현장에 정기 파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현장과 연구원과의 밀접한 업무협조를 통하여 실 업무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개발한다.

Ⅱ. 정례적으로 업무회의를 개최하여 제작 업무 추진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도출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개발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Ⅲ. 개발 단계별로 판매자 및 참여기간이 참석한 검토회의를 개최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발굴, 해결함으로써 운용시 문제점을 최소화 한다.

2) 개발 단계별 활동 주요 내용

구분

목표

솔루션 개발

컨소시엄

참여 단체

AIT

참여기업

개발

컨텐츠 / 마케팅

사전

준비 단계

파일럿

테스트

관련 기능 구현

지역별 특산물

조합/ 단체 현황

및 활동, 다양한

필요사항 리서치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역별

단체

( 30이상

조합 선정 )

컨소시엄 참여 단체 및 참여 기간과의 업무분담 및 의견 조율

과제

진행

단계

도입- 1

2011

지역

디바이스 연동성 및 소셜 네트워크 환경 구축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마켓 환경

소비자 및 판매자 유형 및 소비패턴분석

조합별 상품 구성

성숙 - 2

2012

광역

컨텐츠 생산 및 소비 환경 구축

매거진,

농촌 체험 활동

사용자 및 판매자의 솔루션에대한 사용성 태스트 및 보완사항 피드백

지역별

브랜드

상품화

확산 - 3

2013

전국

소셜 커머스

환경 구축

지역별

소셜 커머스 적용

상품 구성 및

상품 제안

소셜 커머스 동향 분석 및 소비자 구매패턴 분석 및 대안마련

연합

컨소시엄 단체 결성

과제 종료

이후 단계

(단독 브랜딩 도약)

해외

해외 솔루션

구축 환경

리서치 및 적용 샘플 구현

상품에 대한 번 역 설명 및 외국 브랜딩, 온라인 쇼핑 성공/실패 사례 분석

국내와 해외 소비자의 소비 유형 및 구매 패턴 분석 및 적용

PB 상품

기획 및

상품 개발


5-1-3.
서비스제공 가격 전략

■ 개별 판매자들을 위한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솔루션 구축, 모바일 서비스 구현 및 초기 상품 등록은 일체 무료로 서비스 된다.

■ 개별 판매자들이 판매치 홍보 및 매장별 판매 상품 목록의 최적화를 위해 추가 기능 구현 및 개발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금액을 청구 한다.

■ 개별 판매자들이 스스로 등록한 상품에 대한 경우 판매 후 별도의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음을 본 원칙으로 하되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에서 기획하고 구성한 상품에 참여한 판매자의 상품이 판매된 경우매출 정율 방식(하단 설명 참조)으로 수수료를 부과한다. ( . 우리가족 1촌 식단 SET_menu )

■ 참고 -> “정율 방식” : 갑과 을이 판매가격을 합의에 의해 정한 비율을 판매가격의 일정률의 수수료로 책정하여 납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판매가격은 양자합의에 의해 변경할 수 있음)

5-1-4. 기타사항

1) 기대효과

■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서비스 구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

■ 첫째효율적인 정보전달을 통해 판매자의 상품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신뢰도 및 만족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 둘째지역별 소규모 특산물 경영인들이 새로운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 솔루션을 활용함으로써 신규 고객들의 손쉬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 셋째판매자들의 IT활용 능력과 판매 품목별 성향 및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 개발을 통해 실제 특산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5-2. 부가서비스 계획

■ 앞서 실패를 반복하던 단순히 가격과 규모의 경쟁을 위한 온라인 쇼핑몰과 달리 최신 IT 기술을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이지 않고 판매자와 소비자가 참여해서 만들어가는 컨텐츠 솔루션을 구성하도록 한다.

■ 따라서 웹 표준을 기본으로 최신 it기술인 LBS 위치 기반 솔루션과 소셜 네트워크, QR Code를 접목하여 소비자와 판매자가 생산 및 판매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역 특산물 스마트 마켓을 구축한다.

■ 이를 통해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가 자발적이고 자연스런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 한다.

부가 서비스 내용

기본적 서비스

상품기획

- 패키지 상품 제안

솔루션

- LBS위치기반솔루션

- 소셜 네트워크

- QRcode

- 모바일 서비스

컨텐츠

- 웹 매거진을 서비스

- 일상의 유용한 정보

- 농촌 체험 활동 컨텐츠 마련

부가적 서비스

판매자

서포트

- 소규모 판매자를 위한 조합 구성

- 소규모 판매자를 위한 상품/이벤트 제안

품질 관리 및 인증

- 관리 및 품질 보증 서비스(동영상/사진) 구축

- 인증마크 획득절차 대리 수행 업무

1) 유기농 인증, 지역 브랜드 인증..

2) 필요하지만 영세 업자가 직접 하기 힘든

서류상, 절차상, 시간상 문제 해결

3) 직접 판매자를 방문하여 복잡한 서류 작성 및

요건 수행 등의 대행업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조화

- 오프라인 마켓 기획 및 운영

- 지역별 농활 지원 참여 프로그램 마련

1) 지역 농민의 농활 신청

2) 봉사활동 신청 (학생, 일반인, 단체)

3) 인증서 및 증명서 발급

계약 재배

- 지정 고객제 서비스 마련 ( 계약재배 )

1) 소비자가 판매자의 상품을 선택하여

월정액

5-3. 성능향상 유지보수 계획

■ 솔루션의 성능 향상 및 지속적 활성화를 위해 기술적인 부분과 서비스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방안을 함께 마련했다.

5-3-1 서비스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방안

■ 첫째로 서비스 사용 중 발생하는 장애, 성능저하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유지보수체계 및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역할을 마련했다.

■ 두 번째로 서비스 부분에 대한 관계 향상 및 소비자 의견을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여 서비스에 반영 위해 초기 사업단계 및 차후의 서비스 진행과정을 별도로 나누어 지역 특산물 마켓의 참여하는 지역 특산물 경영자 및 판매자와 더불어 소비자 참여율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사항추가 계획을 마련했다.

구 분

역할

서비스 사항

판매자

(1) 모바일 웹, 마켓 플레이스 무료로 구축한다.

(2) 상품 등록 및 판매과정에서의 수수료를 무료로 한다.

(3) 정해진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품 등록 및 판매 활동을 하는 경우 농활 서비스에 등록 및 혜택을 제공한다.

(4) 제품 사진 촬영 및 상세 페이지 관련 촬영 및 제작 업무를 시행한다.

(5) IT 기본 소양 교육, 판매자 활용 요소별 IT기술 기능 교육을 한다.

(6) 품질 인증 관련 승인 철차에 대한 신속한 대행 업무를 시행한다.

소비자

(1) 판매자 및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품질 검증을 솔루션 기획 업체(AIT)에서 직접 현장 검증 및 검증 과정을 사진 및 영상으로 찍어 상세 페이지에 공개한다.

(2) 오프라인 이벤트 행사 ( 지역 특산물 장터 /가족 체험 활동) 지역별 또는 일정 기간별 개최함으로서 생산자와 소비자간 의사소통을 보다 원할히 하고 신뢰관계를 구축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5-3-2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접근방안

■ 향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 구축시 호환성,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를 도입한다.

■ 빠르게 변화하는 IT 흐름에 맞추어 지속적인 신기술 도입, 특히 가파른 성장세를 그리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타블렛 PC의 지원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최신 플랫폼 적응

기존의 PC환경에서 스마트폰, 타블렛 PC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플랫폼을 모두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한다.

미래지향적 신기술 적극수용

현재 시스템에 적용할 LBS, SNS 와 같은 최신의 기술들을 적극 수용하고 앞으로의 기술발전방향을 예측하여 새로운 서비스로의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통합관리체계 수립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과 관리체계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로의 확장에 대비한다.

기존시스템과의유기적인 연계

서비스의 성능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기존의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고확장성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서비스수의 증가, 이용자수의 증가에 따른 서버 및 네트워크의 용량, 하드웨어의 사양이 필요시 쉽게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

안정적인 시스템 환경 구축

모든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 및 관리에 불편함이 없도록 안정적인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 시스템이 구축된 후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위해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소프트웨어,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지보수 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5-4. 시스템 보안대책

■ 기밀보안 관리 방안

시스템 보안

사용자 계정관리

● 계정은 일련의 절차에 따라 시스템 보안 담당자가 통합 관리한다.

● 사용자 Group에 자료 취급 인가에 대한 기밀등급을 지정한다.

● 사용자 Authority를 위한 응용 시스템별 업무 레벨을 정의한다.

● 신규직원 및 외부기관 사용자의 계정 등록 요구 시 시스템 보안 담당자에게 사용목적, 사용기간, 연락처 등을 통보한다.

● 장기 파견자 및 휴직자의 계정은 잠정 폐쇄한다.

● 퇴직자의 경우 사직원 제출 시 계정 반납 확인한다.

패스워드 관리

● 시스템 보안 담당자는 최소 월 단위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체크한다.

● 취약한 패스워드가 발견될 경우 변경을 요구한다.

● 경고 후 일정기간 동안에도 패스워드를 바꾸지 않거나 3회 이상의 경고를 받을 경우 일시적으로 계정을 폐쇄한다.

백업관리

●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응용시스템의 중요 프로그램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백업을 실시한다.

● 백업은 주어진 절차에 따라 시스템 보안 담당자가 실시한다.

● 주기적 백업에는 전체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응용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Full Back-up을 포함한다.

● 백업 데이터는 일정기간 동안 보안이 잘 된 장소에 보관한다.

●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백업 일시, 일련 번호 등을 표기한다.

시스템 침입예방

● 방화벽을 이용하여 침입자의 접근 방지한다.

● 시스템 로그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시스템의 침입 징후를 확인한다.

● 최신 해킹 방법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자료를 입수하여 즉각 대처한다.

● 불필요한 계정이나 패스워드에 대한 즉각적 조치를 시행한다.


■ 보안 위협요소 및 대응책

구분

위협요소

대응책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의 변경, 파괴

● 무자격자의 데이터 불법사용

● 과다한 권한 부여

● 주기적 백업

● 데이터 접근 통제

● 데이터베이스 보안기능 적용

● 승인체계 확립

네트워크

● 해커(비인가자)의 침입

● 통신장애

● 내부 IP Address 노출

● 전송 데이터 유실, 변경

● 비승인 메시지 송수신

● 네트워크 접속통제

● 메시지 전송통제

● 데이터 전송 시 변조 및 오류확인

● 내부 망과 외부망의 분리운영

시스템

● 불법접속 및 불법사용

● 응용 프로그램 장애

● 데이터 조작, 파괴, 노출

● 바이러스 침투

● 주요 소프트웨어 접근 통제

● 사용자별 권한통제

● 데이터의 통제

●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사

시설물

● 불법침입 및 자원의 불법사용

● 도난 및 파손

● 통제구역 접근통제

● 비상전원시스템 / 연기, 열 감지 시스템

인원

● 비밀번호의 노출

● 비인가자의 불법접근

● 정보누출

● 사용자관리 시스템

● 시스템 사용현황 감시

● 권한자의 도용방지

보안정책

● 보안 정책상의 허점

● 보안정책의 지속적 유지 및 변경관리


5-5.
위험관리대책

1) 장애대응 

■ 장애복구

■ 시스템의 서비스 장애가 미치는 영향은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감을 상실시키고,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을 추락시킨다.

■ 따라서 천재지변이나 기타 재난 사태 등 각종 위험요소로부터 전체 시스템과 자원을 보호하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장애 조치를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 장애처리 절차

■ 장애발생 시 비상연락망을 가동하여 시스템 개발인력 중에서 시스템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기술 인력으로 하여금 즉시 복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시스템의 장애시간을 최소화 하도록 다음과 같이 장애처리 절차를 진행한다.

2) 서버 이중화 방안

■ 천재지변이나 갑작스러운 장애는 실시간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 서버 이중화를 통해 여러 대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이용하여 서비스가 잠깐이라도 끊기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피해를 없애고,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신속하게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 백업 방안

■ 자료의 백업

■ 구축된 DB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보장하고 천재지변 및 각종 위험 요소로부터 전산 자원을 보호하고 나아가 정보통신 관련 지식정보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하여 자료의 백업 및 장애 복구 계획을 수립하여 대비하며, 구축된 DB의 복구방안은 구축사업 추진기간 중의 장애복구 체계와 사업완료 후의 유지보수 체계에 의하여 장애를 복구한다.

■ 복구방안은 완료 후의 유지보수 체계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을 사업진행 중에도 조직과 체계를 구성하여 시행한다. 

■ 자료 및 DB 복구 방안

복구단계

조 치 사 항

DB 장애 발생

DB 장애 발생 시 DB 관리자의 책임 하에 장애 현상과 원인 분석 및 단기간(30분 이내)에 복구 가능 여부 판단한다.

• 가능한 경우에는 즉시 복구하고, 불가능 시에는 업무 종료 후 실시한다.

복구계획 수립

• 장애의 현상과 원인에 부합하는 복구계획 수립한다.

• 복구는 기본적으로 백업을 Restore하고 로그파일을 적용한다.

•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로 백업 데이터를 사용한다.

백업

• 복구 작업 실패의 경우에 대비하여 복구 실시 전에 전체 백업 실시한다.

• 즉시 복구해야 하는 상황이거나 백업시간의 장기화로 원하는 시간내에 복구 할 수 없다면 복구실시 전 백업은 생략 가능하다.

복구 실시

• 이전 단계에서 수립된 복구계획에 따라 Restore할 백업도구를 이용하여 백업한다.

Restore작업 완료 후에 로그 파일을 사용하여 DB 장애 발생 직전 시점까지 복구한다.

복구 결과 확인

• 복구 완료 후에는 DB 상태와 복구 결과 확인한다.

- DB 정상 기동 (Startup) 여부를 판단한다.

- 복구 전/후의 DB 테이블 행 수 비교 등을 시행한다.

Restore

• 기존에 작성되어 운영하던 Restore Schedule을 변경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백업 실시한다.

보고 및 이력관리

DB 장애 현상, 원인, 복구절차 및 결과에 대한 모든 이력 작성

• 운영 팀에 보고함으로써 추후 복구 절차 및 계획 수립에 반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