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nk normal
느린 날들이 모여 멀어져간 오늘../말로만 듣던 마흔

마흔, 내 직장말고 내 직업에 대한 소고

by 청춘만화 2022. 2. 6.

사용자를 사로잡는 UX/UI 실전 가이드 책 말미에서 작가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일은 가죽을 다루는 장인처럼 시간이 지나면 어떤 경지에 다다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0년 가깝게 일 일을 했지만 디자인은 여전히 내게 낯설고 모르는 것 투성이인 미지의 영역이다. 디자인은 그 자체로 독립된 형태의 장르가 아니며 언제나 시대/문화적 흐름, 기술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런 속성 때문인지 잠시라도 공부를 게을리하면 도태되는 기분이 든다. 왜 나는 이 어려운 일을 10년이나 붙잡고 있을까. 그것은 디자인이 가진 거대한 영향력을 믿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침에 눈을 뜨고 밤에 눈을 감을 때까지 만나는 모든 환경에 디자인이 존재하지 않는 곳은 없다. 책에는 많은 돈을 들여도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를 디자인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결한 사례가 등장한다. 넓게 보면 디자인이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중요한 수단이자 그 자체로 환경인 셈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디자이너가 지금보다 더 많아져야 한다. 아마 과거의 훌륭한 디자이너 선배들이 남긴 다지인 유산이 없었다면 우리의 삶은 지금보다 못했을 것이다.



문득 방망이 깎던 노인( 윤오영) 이라는 수필이 생각났다. 수능 준비하다 알게 된 문장 한 구절이 가슴 깊이 새겨져서 고등학교 때 사서 계속 보관하고 있는 수필집이 있어 몇 자 옮겨본다.

나도 기가 막혀서 "살 사람이 좋다는 데 무얼 더 깍는다는 말이오. 노인장 외고집이시구먼. 차 시간이 없다니까." 노인은 퉁명스럽게 "다른 데 가 사우, 난 안 팔겠소" 하고 내뱉는다.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그냥 갈 수도 없고, 차 시간은 어차피 틀린 것 같고 해서, 될 대로 되라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 마음대로 깎아보시오." "글쎄 재촉을 하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까.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깎다가 놓치면 되나." (중략)
차를 놓치고 다음 차로 와야 하는 나는 불유쾌하기 짝이 없었다. '그 따위로 장자를 해가지고 장사가 될 턱이 없다. 손님 본위가 아니고 제 본위다. 그래가지고 값만 되게 부른다. 상도덕도 모르고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노인이다' 생각할수록 화증이 났다. (중략)
  옛날 사람들은 흥정은 흥정이요 생계는 생계지만, 물건을 만드는 그 순간만은 오직 아름다운 물건을 만든다는 그 것에만 열중했다. 그리고 스스로 보람을 느꼈다. 이 방망이도 그런 심정에서 만들었을 것이다  



우디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10년차 디자이너 김성연 님을 보면서 10년 차 기획자로 일하고 있던 나를 돌이켜보는 계기가 되었다.
의류패션학과를 졸업하고 카페를 운영하면서 내 이름의 옷을 만들고 유통했다. 그렇게 바리스타와 모델리스트(디자인 + 패턴 설계) 일을 병행하면서 늘, 윤오영 작가가 회상하던 40년 전 그 방망이 깎던 노인을 생각하며 커피를 내리고 옷을 지었다. 그리고 서른, IT분야로 넘어와 디자인, 기획일을 하게 되었다. 제품을 만들 때는 노인만 생각하면 그만이었지만 IT로 넘어오면서 여러 분야의 이해관계자 간 상호 협업-의사결정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라 그런지, 노인뿐만 아니라 작가의 입장까지 오버랩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되곤 했다.
이런 일들은 시간이 지나면 어떠한 경지에 다다를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누군가는 10년이면 이제 닳고 닳아 눈감고도 한다는데.. 나는 10년 가깝게 일을 하고 있지만 나 역시 우디 님과 같은? 심경으로 여전히 낯설고 모르는 것 투성이다. 이런 연유로 잠시라도 게을리하면 도태되는 강박? 아닌 강박이 생겨버렸다. 지난 한 해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어쩌면 집착 인지도 모르겠다- 퇴근 후 7시부터 11시까지 하는 수업에 참여하느라 10개월 가까이 개인 시간이 1도 없었다.
그렇게 마흔, 그리고 하나
왜 나는 이 어려운 일을 10년이나 붙잡고 있을까. 나는 사실 거대한 영향력까지는 잘 모르겠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중요한 수단이란 것도 잘 모르겠다. 과거의 훌륭한 선배들이 남긴 다지인 유산에 대한 건 더 모르겠다.
단지, 쓸모있는 걸 만들었으면 한다는 바람이 있다. 단지, 내 가족이 내 친구들이 내 동료들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걸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커피를 내리거나 옷을 지을 때는 그럴싸한 걸 쫓지 않아도 된다. 옷장 안에 모셔둘 좋은 옷은 필요 없기 때문이다. IT로 넘어와 일을 하면서는 조금 다른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물론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린다고 내 손이 똥 손이기 때문에 내 경험의 한계일 수도 있겠지만.. 정부나 공공기관과 일할 때는 실적을 위주로 의사결정이 이뤄진다. 수행사는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으면 된다. 오버하면 찍힌다. 찍히면 회사의 안녕과 직원들의 일자리가 위험해진다. 자사 서비스를 하는 곳도 크게 다르지 않다. 공무원들이 자신들이 따온 예산을 자신들의 기준으로 소진할 권한?을 행사하듯- 스타트업 사장님이나 투자자들 또한 자신의 입맛에 맞추지 않으면 그 조직에 있을 이유가 없다 고 한다. 사용자나 퍼소나?를 언급하면 정작 사장님은 왜 퍼소나가 아니냐? 사용자는 본인의 니즈를 모른다며 어느새 다들 스티브 잡스 형이 되어 계신다.
그리고 얼마가지 않아, 윤오영 작가의 그 시절처럼 '그 따위로 직장 생활를 해가지고 사회생활이 될 턱이 없다. 조직 본위가 아니고 제 본위다. 그래 가지고 연봉만 되게 부른다. 조직생활도 모르고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기획자이다' 하는 얘기를 듣게되고 결국 퇴사 후 6개월에서 일 년이 남짓 지나면 약속이라도 하신 듯 다들 탁주 한 사발 하자며 찾아오셔서 지난 일들을 회상하곤 한다. 사실 짧게나마 나도 20대 때 사장으로 대표로 일을 해봤다. 비록 짧았고 치기어린 나이었지만 그래서인지 대표님들의 고민들이 이해가 십 분 이해가 간다. 나는 그 자리에서의 외로움을 견디지 못했다. 그 자리에서의 압박감과 책임감을 이겨내지 못했다. 그래서 대표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쉽고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은 IT 회사의 조직 구조이다. 결국 사람은 비슷한 사람들끼리 어울린다고 내 안목이 똥 손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개인적 경험의 한계일 수도 있겠지만.. 많은 관리자(특히 대표님)들은 뒤에서는 욕하지만 앞에서는 사교성 좋고 말 잘 듣는 것 처럼 보이는 직원들을 따른다. -물론 이 조차 내가 사회생활을 못한다는 반증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은 직원을 사용하는 줄 알지만 결국 이용당하는 모습들을 보며 안타까울 때가 많다. 그렇다고 저마다의 가족과 그들의 생계를 위해 나름의 진정성을 가지고 하는 그들을 비난하거나 공개하는 것도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저 그들의 요구대로 절이 싫으면 중이 나가는 수밖에 없다. 종종 대표님과 막역? 해진 경우엔 갈 때까지 가보지만, 중간에 계신 관리자 분들도 대부분 현장에 최적화된, 소위 그 조직에서 살아남은 선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대표님과 막역해지기 전에 정리가 되는 편이다.

나도 늙었는지 요즘은 그런 생각이든다. '내가 무슨 독립운동가도 아니고 대표님이 내 아버지나 형도 아닌데 너무 오버하는 건 아닌가. 좋은 게 좋은 거라고 둥글둥글하게 내 평판도 좀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 나도 이제 나이도 적지 않아 이직도 쉽지 않은데 무슨 영광을 누리겠다고 - 언제까지 연못 위 학처럼 한 다리로 꼿꼿하게 서 있기만 할 텐가..'


이럴 때마다 주책없이 대학생때 어머니께서 내게 해주신 말씀이 떠오른다.

  찬우야, 사람은 나이가 먹어서 늙는게 아니고
어떤 일들이 귀찮기 시작해지면, 그래서 그걸 인정하고 넘어가기 시작하면
바로 그때부터 늙기 시작하는거란다..  

당연한 것들이 하나씩 늘어갈 때마다, 뻔한 것들이 하나둘 추가될 때마다, 역시 예상은 틀리지 않아- 라는 생각이 나도 모르게 툭-하고 터져 나올 때마다 그 시절 그 말씀을 떠올려보곤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