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 저서에서, 다윈은 의미 (최종적인 의미보다는, 용도나 목적과 같은 즉각적인 의미)를 추구함으로써 진화와 자연선택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다윈은 식물학 자체를 순수한 기술 학문descriptive discipline에서 진화과학evolutionary science으로 변모시켰다. 사실, 식물학은 최초의 진화과학이었다. 다윈의 식물학 연구는 다른 진화과학들을 모두 이끌었으며,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 Theodosius Dobzhansky의 말을 빌리면 '진화의 관점에 비춰보지 않으면, 생물학 에서 의미가 통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통찰력을 길러줬다.
다윈은 <종의 기원>을 하나의 긴 논증one long argument이라고 불 렀다. 그와 대조적으로, 그의 식물학 저서들은 개인적이고 서정적이 고 덜 체계적이었으며, 논증보다는 관찰과 실험과 증명을 통해 효과를 거뒀다. 프랜시스 다윈에 의하면, 애서 그레이는 이렇게 말했다 고 한다. "만약 <난초>가 <종의 기원>보다 먼저 발간됐다면, 다윈은 자연신학자natural theologian들에게 저주를 받기보다 성인으로 추앙받 았을 것이다." 34
라이너스 폴링 어머니가 내게 다가와, '다리에 노란 꽃가루를 잔뜩 묻힌 벌들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설명해줬다. 그러고는 이렇게 말했다. "벌과 꽃들은 서로 의존하고 있는 거란다."
정원에 핀 꽃들은 대부분 향기가 좋고 색깔이 아름다웠지만 예 외가 하나 있었다. 목련나무 두 그루가 있었는데, 커다랗지만 색깔 이 하얗기만 하고 향기도 없는 꽃을 피웠다. 그런데 목련꽃이 만개하면, 조그만 딱정벌레들이 그 속으로 기어들어갔다. 어머니는 이렇게 설명했다. "목련나무는 아주 오래된 꽃식물이란다. 거의 1억 년 전에 나타났는데, 그때는 벌 같은 곤충이 아직 진화하지 않았던 거 야. 벌이 없으니 색깔과 향기도 필요 없었고, 그냥 주변에서 어슬렁 거리던 딱정벌레에게 꽃가루 배달을 맡겼단다. 벌과 나비와 (색깔과 향기가 있는) 꽃들은 아직 때가 되지 않아 다음 차례를 기다리고 있 었어. 그들은 수백만 년에 걸쳐 아주 조금씩 진화할 예정이었거든." '벌과 나비가 없고, 꽃의 향기와 색깔이 없었던 세상'이라는 아이디어는 내게 경외감을 심어줬다.
'영겁의 세월'이라는 개념과 '하나하나는 작고 지향성이 없지만, 축적되면 새로운 세상(엄청나게 풍부하고 다양한 세상)을 만들 수 있는 변화'의 힘은 중독성이 있었다. 진화론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신의 계획에 대한 믿음이 제공하지 못한) 심오한 의미와 만족감을 제공했다. 베일에 가려졌던 세상에는 이제 투명한 유리창이 생겼고, 우 리는 그 유리창을 통해 생명의 역사 전체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타임머신>의 반대편에는 <새로운 가속기>가 있다. 이 소설은 관점을 바꿔, 인간의 지각perception, 사고thought, 대사metabolism 속도를 늘리는 약물을 다룬 스토리다. 약물의 개발자 겸 내레이터는 약물을 직접 복용하고, 빙하로 뒤덮인 세상을 떠돌며 진기한 목격담을 쏟아 낸다.42
그로부터 몇 년 후, 나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다니던 중 윌리엄 -임스William James의 《심리학의 원리 Principles of Psychology>를 읽었는데, ㅣ간의 지각The Perception of Time>이라는 근사한 제목의 장에서 다음 같은 내용을 발견했다.
우리는 모든 동물들이 주어진 시간에 지각하는 사건의 수가 거의 일정 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주어진 시간에 지각하는 사건의 수가 동물마 다 크게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할 이유는 충분하다. 폰 베어 Von Baer는 이 러한 종별 차이가 '자연의 순환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홍 미를 갖고, 그 영향을 수치로 계산하는 데 몰두했다.
인간은 1초당 겨우 열 건의 사건을 지각하는데, 만약 열 건이 아니라 1만 건의 사건들을 지각할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우리가 일생 동 안 지각할 수 있는 사건의 수가 일정하다면, 지각하는 사건이 1,000배 로 늘어났으므로 수명은 1,00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다. 그렇다면 우 리는 고작 한 달 미만을 살아야 하므로, 계절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책 을 통해서만 알 뿐 전혀 실감하지 못할 것이다. 겨울에 태어난 사람은 (석탄기라는 뜨거운 지질시대가 있었음을 믿는 것처럼) 더운 여름이 있 음을 믿어야 한다. 세상의 움직임은 너무 느려 우리의 감각으로 보는 것은 고사하고 추론할 수도 없다. 예컨대 태양은 하늘에 그대로 떠 있 고, 달의 모양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이제 가정을 뒤집어. 우리가 주어진 시간에 지각하는 사건의 수 가 1,000분의 1로 줄어들었다고 치자. 그러면 우리의 수명은 1,000배.. .44
그로부터 몇 년 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정신의 삶The Life of the Mind>을 읽다가 다음과 같은 구절을 발 견했다.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곳, 시계와 달력의 저편에 영원 히 존재하는 완벽한 고요, 시간에 쫓겨 허덕이던 인간적 존재가 조용 히 머무는 곳. 시간의 한복판에 버티고 있는 이 작은 비시간적 공간 non-time space 이여!" 나는 그녀가 뭘 말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었다.47
아무리 선천적 재능을 가졌더라도, 엘리트 운동선수들은 다년 간의 집중적인 실습과 훈련을 통해 고도의 기능을 마스터한다. 처음 에는 미세한 기술과 타이밍을 익히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과 집중이 필요하지만, 어느 시점이 되면 기술과 신경표상neural representation이 신경계에 깊이 스며들어 제2의 천성으로 자리 잡는다. 이 경지에 이 르면 의식적인 노력이나 결정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 하여 뇌는 한편에서 자동적으로 작동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데, 이 인식은 탄력적이어서 압축되거나 확장 될 수 있다.
1960년대에 신경생리학자 벤저민 리벳Benjamin Liber은 단순한 운 동결정motor decision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하던 중, "어떤 단 서를 의식하기에 앞서서 결정을 나타내는 뇌신호가 감지되며, 그 시 차는 수백 밀리세컨드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00미터 달리 기 챔피언은 출발의 총성이 울렸음을 의식하기도 전에 몸을 일으켜5-6미터를 달려 나간다. 그는 총성이 울린 후 130밀리세컨드 만에
스타팅 블록을 박차고 나가는 반면, 총성을 의식적으로 접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00밀리세컨드 이상이다. 리벳은 이렇게 제안했다.
"나는 총성을 듣는 즉시 블록을 박차고 튀어 나간다'는 선수의 믿음
은 일종의 환상이다. 그런 환상적인 출발이 가능한 이유는, 그의 마
음이 총성 인식보다 거의 0.5초 선행하기 때문이다."
마치 시간이 압축되거나 확장되기라도 하는 것처럼 시간의 재 배열reordering이 일어난다는 사실은 '우리가 통상적으로 시간을 어떻 게 인식하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에 대한 윌리엄 제임스의 추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시간 판단과 인식 속도는 '주어진 단 위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사건들을 인식할 수 있느냐', 즉 시간분할 partitioning of time 능력에 달려 있다."
적어도 시지각visual perception의 경우, "의식적 지각conscious perception은 연속적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순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이 죽 연결되어 연속적인 것처럼 보일 뿐이다"라고 주장할 만 한 이유는 충분하다. 마치 영화의 프레임처럼 말이다. 테니스 샷을 받아넘기거나 야구공을 때리는 것과 같은 자동적 반응에서, 시간분 할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신경과학자 크리스토프 코흐Christof Koch는 행동behavior과 경험experience을 구분하여, "행동은 매끄럽게 실행되는 반면, 경험은 영화처럼 불연속적 간격으로 조직 된다"고 주장한다. 코흐의 이 같은 의식모델은 '시간의 인식은 가속 되거나 감속될 수 있다'는 제임스 메커니즘Jamesian mechanism을 뒷받 침한다. 마지막으로 코흐의 말을 들어보자. "비상 상황에 직면한 사람이나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경험하는 슬로모션 현상은 집중력에 서 나온다. 강력한 집중력은 시간을 분할함으로써 개별 프레임 간의 간격을 좁힌다"52
'새로워지기 > 문장 발효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 | 우리는 모든 것의 주인이기를 원한다_ 손실회피 등 (0) | 2023.06.14 |
---|---|
북 | 뉴필로소퍼 2023 22호 - 자유를 향한 의지 (2) | 2023.06.11 |
북 |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0) | 2023.06.07 |
북 | 유마경의 하이라이트 (0) | 2023.06.04 |
유마경과 이상형( 화공 강설) 중에서 (0) | 2023.05.14 |
댓글